◇ 이화학당 ◇
* 미국 북감리교회의 스크랜톤 선교사가 1886년 5월 31일 이화학당을 설립한다.
* 고종황제께서 1887년 <이화>라는 이름을 하사하신다.
* 이화학당은 1904년 4년제 중학교를 설치하며, 1910년 대학과 신설, 1925년 전문학교를 설립한다. 1935년 이화여전은 신촌으로 이전한다. 이화여자대학교는 1946년 설립된다. 현재 16,000여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 스크랜톤 선교사 |
* 스크랜톤 학당장은 한국 최초의 여성 신교육 기관인 이화학당을 이 자리에 창설한 한국여성 신교육의 선구자이며, 미 감리교 여선교회의 한국 선교 개척자로서 헌신하시고 서울 양화진 외인 묘지에 잠들다. | ||
* 초창기 교문
| |||
* 한국 여성 신교육의 발상지 |
| ||
* 이화학당의 첫 교사 |
* 이화학당 첫 교사 모형도(1886.11- 1897년) | ||
* 1924년 이화학당 교사들 |
* 이화 유관순 우물터 | ||
| |||
* 유관순은 1902년 병천면 용두리에서 태어나서 이화학당에 재학 중 3.1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나자 귀향해 1919년 4월 1일 (음력 3월 1일), 아우내 만세운동을 일으켜 공주감옥에 수감되었다. 1919년 8월, 서대문 형무소로 이감된 뒤 일제의 악독한 고문에 못 이겨 1920년 10월 12일 옥중에서 순국하였다.
| |||
|
|
| |
|
| ||
|
* 이화 7인 전도대 (뒷줄 우측부터 김함라, 윤성덕, 홍에스더 앞줄 김애은 김활란 김폴린)
| ||
* 이화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이 땅에 전해지고, 제 이름조차 지닐 수 없었던 이 땅의 여성들에게 신교육이 시작되었으며, 폐쇄된 사회 속에 갇혀 살던 많은 이들에게 해방이 있을 수 있었습니다.
| |||
* 한국 최초의 여의사
|
* 이화여고 교지 배꽃(1954) | ||
|
| ||
|
| ||
|
| ||
|
* 이화 교복 변천사 | ||
* 이화의 100년은 그대로 이 나라의 근대 민족사, 여성 지성사였다. 주권을 잃은 민족의 운명과 맥을 같이하면서 선각적 여성 지도자들을 배출하였던 개화기, 류관순 열사로 상징되는 3·1운동, 이화가 서울 학생 운동의 선구에 섰던 1930년대, 그리고 오늘날 각계각층에서 활동하는 탁월한 인재들의 산실이 되었던 1950년대 이후의 지금까지, 민족과 역사 앞에 그 역할을 훌륭히 수행해 왔다. | |||
*이화 100주년 기념관
|
* 이화 본관
|
* 주소: 서울 중구 정동 32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