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숭실대학교 ◇
* 숭실대학교는 1897년 평양 신양리 26번지에 숭실학당으로 세워져 1906년 우리나라 최초로 대학 과정의 교육을 시작하였다. 숭실대학교는 근대 학문을 가르치고 배우는 신지식의 요람으로, 전도 ․ 음악 ․ 체육 ․ 문예 활동 등 신문화의 선구자로, 항일 민족 운동의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숭실대학교는 105인 사건과 조선국민회, 3.1 운동을 주도하면서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고등 교육기관이 되었다.
* 숭실학당 교사(1901년) | |
* 1930년대 말 일제가 우리 민족에게 신사참배를 강요하자, 숭실대학교는 과감하게 이를 반대하였다. 이 때문에 숭실대학교는 1938년 문을 닫아야했다. 해방과 분단, 전쟁의 혼란을 겪으면서 숭실대학교는 1954년 서울에서 새롭게 문을 열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
| |
|
* 숭실대학 창립자 겸 초대 교장인 배위량 선교사의 상이다. 숭실대학교는 1997년 10월 10일 개교 100주년을 맞아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이 상을 세웠다. |
|
|
|
* 한경직 목사는 1902년 12월 29일 평남 평원군에서 태어났다. 그는 1922년 숭실대학에 입학하여 학문과 경건의 훈련을 쌓던 중 1924년 여름 황해도 구미포 해변에서 하나님의 소명을 받고 졸업 후 미국 엠포리아대학을 거쳐 프린스턴에서 유학하였다.
|
|
|
* 귀국 후 그는 신의주 제2교회, 해방 후에는 서울 영락교회를 세워 세계적인 교회로 성장시켰으며 고아 무의탁 노인 전쟁 미망인들을 위하여 영락보린원 영락경로원 다비다모자원을 설립하였고 영락중고등학교 영락여자신학원을 위시하여 대광학원 보성학원 장로회신학대학교 숭실대학 서울여자대학교 등 숱한 기독교 교육 기관을 통한 기독교교육에 이바지하였다. | |
* 만주 봉천에서 숭실대학 전도대(1923년 6월) - 왼쪽에서 세 번째가 한경직 목사이다.
|
* 1925년 숭실대학교 졸업생 일동 - 둘째 줄 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한경직 목사이다. |
* 한경직 목사 | |
|
|
* 숭실이 낳은 한경직 목사는 1954년 숭실대학을 서울에 재건하고 초대학장으로 취임하여 숭실을 세계적으로 발전시키는 초석을 놓았다. 템플턴상을 수상하였다.
|
* 한국기독교박물관 |
* 한국기독교발문관은 국보 제141호<다뉴세문경>, 국보 제231호 <청동기용범>, 보물 제 569호 <안중근의사유묵>, 보물 제883호 <지구의> 등 국보급 문화재를 포함한 약 7,000여 점의 한민족 및 한국기독교 관계 자료와 유물을 소장하고 있을 분 아니라 고대 중국과 로마시대의 유물을 다량 소장하고 있다. |
* 이 박물관에는 통일신라 시대에 우리나라에 들어온 경교 관련 유물, 조선 후기에 들어온 천주교 관련 유물, 개화기에 들어온 개신교 관련 유물 등 우리나라 기독교의 역사와 관련된 자료들을 전시하고 있다.
| |
|
* 한국기독교발문관은 숭실대학 출신의 장로교 목사이자 고고학자였던 고(故) 김양선 교수의 일생에 걸친 열정과 그 가족들의 헌신적인 노력에 의하여 설립되었다. |
* 김양선 목사는 일제 시대에 항일운동을 하고 투옥을 당했던 신앙인이다. 김 목사는 1956년 <한국기독교 해방 10년사>에서 해방 이후에 장로교 총회의 신사참배 취소 결의 어디에서도 진정한 참회와 고백을 찾을 수가 없다는 비판을 하였다. 1958년 제43차 장로교 총회에서는 그의 책이 교단을 모독했다며 출판금지 결정을 내리기도 했다. 김 목사는 한국교회의 친일 청산 부재에 대한 비판을 한 기독교 역사학자로도 유명하다.
| |
* 경교 돌십자가: 경주 불국사에서 발견된 십자가 형태의 돌입니다. 8세기 무렵 경교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을 보여주는 대표 유물이다. | |
|
* 한일통상조약체결기념연회도
1883년 일본과 통상조약을 체결하고 난 뒤 연회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우리나라에서 서양식 상차림이 도입되었음을 보여 주는 최초의 그림이다. |
* 십자무늬장식 |
* 숭실중학 졸업증서(1908년) |
|
* 경교성서 |
|
* 영세명장 |
|
|
* 찬셩시 장로교회에서 불렀던 찬송시로 악보 없이 가사만 적었고 ‘예수’, ‘주’를 높이려고 붉은색으로 따로 적었다.
|
* 마리아상 경주에서 나온 불상 모양의 마리아상으로, 중국에서 전해졌다. 통일신라시대에 이미 경교가 들어 왔음을 알 수 있다. |
* 숭실대학교 전경 |
*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511번지